직장과 일상생활을 위한 52가지 생산성 원리 작성일: 07-02-24  
글제목: 직장과 일상생활을 위한 52가지 생산성 원리
작성자: (주)칸나
직장과 일상생활을 위한 52가지 생산성 원리 최대한의 생산성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때 나오는 법이다. 그러니 모든 일은 계획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이란 때로 좀 더 유연한 태도를 취하고 새롭게 생겨나는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좀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수시로 닥쳐오는 모든 일에 대해 항상 마음의 준비를 갖출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모든 종류의 혼란요인과 장애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을 차리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항상 주어진 일을 제대로 할 수 있으려면 다음 생산성의 4가지 부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1.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완수한다 (1)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정리한다. (2) 모든 것을 글로 남겨두는 습관을 가진다. (3) 내가 하려는 일을 추적하여 좀더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한다. (4) 목표 성취를 위해서 내가 처한 현실을 이해해야 한다. (5) 긍정적 결과를 시각화하고 건설적으로 행동한다. (6) 상충되는 약속을 피한다. (7) 모든 미결 프로젝트를 정리해본다. (8) 미결 업무를 끝냄으로써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9) 아직도 내 마음속에 남아 있다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다. (10) 창조적 사고를 위해선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한다. (11) 삶을 항상 축소가 아닌 확대의 방향으로 정하라. (12) 정기적으로 내가 추구하는 방향이 옳은 것인지 점검하다. (13) 일의 노예가 되지 말고 일의 주인이 되도록 한다. (14) 상황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실에서 약간 거리를 멀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5) 일정한 패턴을 보기 위해서는 결과를 먼저 시각화하는 것이 좋다. (16) 가장 하기 쉬운 일에 집중하지 말고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한다. (17) 행동은 항상 생각을 따라다닌다. 2. 초점을 맞춘다 (18) 생각을 명확하게 하면 할수록 행동의 결과는 더 나아질 수 있다. (19) 내가 하는 일에 대해 최고가 되도록 한다. (20) 삶에서 다른 결과를 얻기 위해선 초점을 바꿔야 한다. (21) 내 생각을 붙잡는 방법을 익힌다. (22) 내가 뭘 해야 할지에 대해 명확한 목표의식을 갖는다. (23) 내가 활용하는 시스템을 신뢰해야 한다. (24) 효율성을 높이려면 우선 방향성이 분명해야 한다. (25) 일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으려면 한번에 한가지에만 초점을 맞춘다. (26) 목표 설정이 갖는 중요한 의미는 이것이 변화를 조장한다는 데 있다. 3. 구조화한다 (27) 한 부분에서의 안정성은 다른 부분에서의 창조적 사고를 낳는다. (28) 생산성 향상을 위해 형식과 기능을 일치시킨다. (29) 내가 신뢰할 수 있는 상기 시스템을 개발한다. (30) 나의 시스템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면 더욱 좋다. (31) 시스템 효율은 가장 약한 지점에 의해서 좌우된다. (32) 순조롭고도 조용한 시스템을 만든다. (33) 항상 주간점검시간을 갖는다. (34) 비즈니스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히 한다. (35) 각 결과에 대해 적어도 한 사람이 책임질 수 있도록 한다. (36) 정책이 아니라 원칙을 세워야 한다. (37) 해야 할 일에 대해 항상 생각을 하는 것은 시간 낭비다. (38) 내가 생각해낸 아이디어는 의외로 귀중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39) 목표와 자원 사이에 격차가 크면 클수록 창조성이 더 발휘한다. 4. 행동에 나선다 (40) 어느 상황에서든 준비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한다. (41) 너무 지나친 컨트롤은 너무 적은 컨트롤보다도 못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42) 시간을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해 직관을 사용한다. (43) 다단계 자기관리기법을 활용한다. (44)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없애고 긴장을 풀어야 한다. (45) 의외의 사태 발생을 계획의 일부에 포함시킨다. (46) 장기적 관점을 갖는다. (47) 천천히 가는 것이 더 빨리 가는 것이다. (48) 프로젝트를 한꺼번에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한 단계씩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49) 작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0) 무엇인가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실천이다. (51) 조정하지 못하게 됐다고 느낄 때는 아예 앞장을 서는 것이 좋다. (52) 대성공은 대실패 다음에 오는 법이다. 읽느라고 수고하셨습니다.
목 록 수 정 삭 제 답글쓰기